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google app engine 설치하기


[google app engine] google app engine 설치하기



이클립스에 구글앱엔진 설정하기
Help>Install New Software를 선택합니다.

Update sites

If you are already familiar with installing Eclipse plugins, you can just use the update site URL below for your version of Eclipse.
Eclipse 3.8/4.2 (Juno)


Eclipse 3.7 (Indigo)


Eclipse 3.6 (Helios)


Eclipse 4.3, Kepler



Google Plugin for Eclipse
Google App Engine Java SDK
Google Web Toolkit SDK
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고 이클립스를 재시작 합니다.

Google App Engine 으로 새 프로젝트를 만들어 봅니다.
File>New>Other>Google>Web Application Project를 선택합니다.

Project name, Package 명을 입력하고 Finish 버튼을 누릅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되었습니다.

실행해 봅니다.

이 상태에서는 서버만 실행되고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아래쪽에 있는 Sign in to Google를 클릭해 봅니다.

아래쪽에 있는 Sign in to Google를 클릭해 봅니다.
엑세스 허용 버튼을 클릭 합니다.

아래쪽에 로그인 한 ID가 보입니다.

아래쪽에 있는

를 클릭해 봅니다.
현재 설정된 브라우저가 뜨면서 다음 화면이 보입니다.

CHROME
에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GWT Developer Plugin 이 크롬 브라우저에 설치 되었습니다.

url을 다시 쳐보면


Web Application이 실행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Google App Engine에 배포된 것이 아니고 로컬의 가상머신에 돌아가는 것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Google App Engine에 배포해 봅니다.

로그인 합니다.

Application을 생성합니다.

처음에는 전화로 인증을 받습니다. 핸드폰, 유선전화 모두다 가능합니다.

전화상에서 불러주는 숫자를 잘 받아 적고 입력합니다. 영어로 불러주네요 ^^

Application명이 사용 가능한지를 체크해야 합니다.

정상적으로 생성됬었습니다.

https://appengine.google.com/
  
에 접속하면 등록된 Application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이클립스에서 webappservice1에 배포를 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google>Deploy to App Engine 을 선택합니다.

다음처럼 오류가 발생합니다. application ID가 이클립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서 생긴 오류입니다.
App Engine project settings... 를 클릭 합니다.

Application ID
 google app engine에 만들어둔 webappservice1을 입력합니다.

오류가 없어졌습니다. Deploy 버튼을 클릭합니다.

google app engine
에 만들어둔 webappservice1에 배포되고 있습니다.

배포가 완료 되었습니다.

 
https://appengine.google.com/ 에서 Status Running을 클릭합니다.

http://webappservice1.appspot.com
 
으로 접속되었습니다.
로컬에서 가상머신으로 돌린 것과 동일하게 웹서비스가 되고 있습니다.

텍스트박스에 이름을 입력하고 Send 버튼을 클릭합니다.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습니다.
[google app engine] google app engine 설치하기
저작자 표시 비영리
Posted by jobtoy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Google App Engine의 Database 비용 줄이기

Feb 17 Google App Engine의 Database 비용 줄이기 얼마전 iOS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친구와 함께 사진 공유 App을 런칭했다. ( App Store Link ). 어차피 돈 벌기 위한 작업이 아니었으므로 서버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구현했다. 1. 사진 데이터는 Facebook에 올린다. 2. 우리 App에서 보여주기 위한 데이터(순위, 투표 현황 등)는 Google App Engine에 저장한다. 1 GB까지 무료이므로 어느정도 수준까지 무료로 서비스 가능. 이 이상이면 소액 지출로 해결한다. 1GB 이상의 데이터가 쌓일 정도면 일정 수준 성공한 서비스이므로 광고 등으로 유지 비용을 벌 수 있을 것이라 판단. 3. iOS App에서 cache를 적절히 활용하여 Google App Engine에 조회를 최소화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하면 초기 비용 없이 서비스를 한동안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App을 한달전 쯤 런칭하였는데... 딱 일주일만에 Google App Engine의 DB read 동작이 무료로 제공되는 한계치를 넘을려 하고 있었다. 어쩔 수 없이 유료화로 전환하여 약간의 비용을 지출하게 되었는데. 실제 사용자 수에 비해 DB read 횟수가 많아 보여 이를 감소하는 방법을 찾아 적용하였다. 혹시, Google App Engine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하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듯 싶어 공유한다. DB read 동작 횟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 Entity를 읽으면 무조건 1회의 read 동작 Query를 실행하면 1회, Query에서 얻어지는 모든 Entity에 대해 1회의 read 동작 (read는 10...

jdbc vs mybatis

파일 공유신청 Tistory JDBC와 Mybatis 차이 Study/SPRING FRAMEWORK 2015.02.12 11:35 Google App Engine으로 해보려다 DB를 MY SQL로 하다보니 Google App Engine을 쓸 수 없어  JAVA에서 유명한 Spring Framework를 쓰기로 했습니다. 일단 My Sql에 접근하기위해 JAVA에서는 JDBC가 있어야 한다고 하네요. 안드로이드에서는 SQLite로 간단하게 했는데, JAVA에선 알아야 할게 많네요;;ㅎ 일단 JDBC를 알아봤더니, Oracle, MySql, MS Sql에 접근하기 위한 드라이버 같은 거랍니다. 위 그림과 같이 JAVA 응용프로그램에서 DB에 접근하기위해 JDBC를 거쳐야 합니다. 아 MS에서 만든 ODBC란 놈도 있는데, 이놈은 Access나 Excel같은데도 접근이 가능한데, JAVA에서는 JDBC-ODBC 드라이버로 ODBC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넘어가서 그럼 Spring Framework에서는 어떻게 하느냐... 바로 Mybatis라는 놈으로 쉽게 접근 할 수 있다하네요. 위 그림처럼 JDBC대신 My Batis를 씁니다. My Batis는 원래 ibatis인데, 2010년 아파치 ibatis...